아스팔트에 합성고무, 안정제, 첨가제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에멀젼 형태로 제조된 1액형 방수제로써 신장력이 매우 우수하고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력이 탁월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되메우기부분 교대배면방수, 수처리시설의 외부 방수등 토목과 건축분야의 방수제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무아스팔트 복합방수는 도막 이시트 아래 들어가는데, 우레탄복합방수는 우레탄도막이 시트 위로 올라간다.수용성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제가 사용되며, 도막 위 시트는 노출이냐 비노출이냐에따라 두께 규격이 달라진다. 

 


시공법입

1) 하지 정리
-면처리 등 하지정리 및 프라이머 도포(아쿠아페이스트)
아쿠아페이스트는 일반 프라이머와 달리 시멘트와 혼합하여 사용
프라이머 시공시 미리 바닥면에 물을 뿌려주면 접착력 향상

2) 도막방수재 시공
-수용성 고무아스팔트 도막방수재 아쿠아코트를 2회 시공합니다.
1회 시공시에는 최대한 얇게 시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두꺼울 경우 기포 발생)
1회 시공시 0.4~0.5kg/mi
2회 시공시 0.7~0.8kg/m2 정도를 기준

3) 방수시트 시공
- 도막방수재가 충분히 양생된 후 시트를 시공
겹침부위 및 노출시트일 경우 전면 열융착
벽체에 올라가는 부분도 접착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열융착

4) 보호층 공사
-노출방수시 생략

 

'건축학 >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베팅과 용접의 차이점  (0) 2024.04.28
[공정관리] PERT-CPM공정표 에서 EST와 EFT  (0) 2024.04.28
빈배합(Poor Mix)과 부배합(Rich Mix)  (1) 2024.04.28
조적조 벽체의 와이어메시  (0) 2024.04.26
수밀성  (0) 2024.04.24

건설 분야에서 전통과 현대성 간의 논쟁은 종종 중심이 됩니다. 그러한 논쟁 중 하나는 건축 자재 로 충전된 흙과 콘크리트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 입니다. 콘크리트는 오랫동안 건설에 사용되는 재료였지만 충전된 흙은 지속 가능성, 내구성 및 독특한 미적 매력으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우리는 콘크리트 대신 충전된 흙을 선택하는 것의 이점을 살펴보고, 강도와 수명에 대한 일반적인 질문을 다루고, 이 고대 건설 기술의 놀라운 내구성에 대해 조명을 비출 것입니다.

우리 사회가 건축 자재의 환경적 영향에 대해 점점 더 인식함에 따라 지속 가능한 대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거푸집 안에 흙 층을 압축하는 오래된 건축 기술인 램드 어스(Rammed earth)가 콘크리트에 대한 친환경적 대안으로 다시 부상했습니다.

1. 낮은 탄소 발자국: 충전된 흙 건설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최소한의 탄소 발자국입니다. 콘크리트 생산은 높은 에너지 소비 와 온실 가스 배출로 악명이 높습니다. 반면 충전된 흙은 건설 중에 상당히 적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최소한의 폐기물을 생성합니다. 

2. 열 질량과 에너지 효율성: 충진된 흙벽은 뛰어난 열 질량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낮에는 열을 흡수하고 밤에는 천천히 방출하여 실내 온도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이러한 자연적 온도 조절은 난방 및 냉방 시스템의 필요성을 줄여 에너지 소비와 공과금을 낮출 수 있습니다.

3. 건강한 실내 환경: 덧대기 흙벽은 통기성이 뛰어나고 자연스럽게 습도 수준을 조절합니다. 이는 편안하고 건강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여 곰팡이 성장 위험을 줄이고 공기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기존 건축 자재에서 흔히 발견되는 독성 화학 물질이 없기 때문에 더 건강한 생활 공간에 기여합니다.

4. 독특한 미적 매력: 충전된 흙 구조물은 사용된 흙의 색상과 질감의 자연스러운 변화에서 비롯된 독특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뜻하고 흙빛 톤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느낌을 불러일으킬 수 있어 충전된 흙 건물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일한 외관에서 돋보이는 시각적 즐거움입니다.

충전된 흙이 콘크리트보다 더 강한가?

건축 자재의 강도는 다양한 용도에 대한 적합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요소입니다. 콘크리트는 강도로 유명하지만, 압축토는 인상적인 구조적 무결성도 제공합니다.

충전된 흙벽은 시공 과정에서 압축과 다짐을 통해 강도를 얻습니다. 콘크리트는 인장 강도로 알려져 있지만 충전된 흙의 압축 강도는 혼합 설계, 다짐 기술, 사용된 토양 특성과 같은 요인에 따라 비슷하거나 더 우수할 수 있습니다. 충전된 흙의 응집력과 입자의 상호 연결은 견고성에 기여하여 상당한 하중과 압력을 견딜 수 있습니다.

충전토벽의 수명은 얼마나 됩니까?

적절하게 설계하고 건설하면, 충진토 벽은 수세기 동안 지속될 수 있습니다. 만리장성 과 다양한 고대 요새와 같은 역사적 사례는 충진토의 뛰어난 장수에 대한 증거로 남아 있습니다. 적절한 기초 설계, 적절한 토양 선택 및 적절한 유지 관리를 포함한 현대 엔지니어링 관행은 충진토 벽의 수명을 더욱 연장할 수 있습니다.

충전토에 철근이 필요한가?

보강은 종종 콘크리트와 같은 재료의 구조적 무결성을 강화하기 위해 건설에 사용됩니다. 그러나 압축된 흙의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전통적인 철근이 필요 없이 효과적으로 기능할 수 있습니다.

충전된 흙의 압축 강도와 응집성은 자연스럽게 균열과 균열을 견딥니다. 충전된 흙 혼합물 내의 상호 연결된 입자는 내재적인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일부 현대 충전된 흙 건설 기술은 지진 지역과 같은 특정 응용 분야에서 최소한의 보강재를 통합할 수 있지만 일반적인 관행은 아닙니다. 충전된 흙의 강도는 외부 보강재에 의존하기보다는 주로 압축된 구성과 적절한 건설 방법에서 비롯됩니다.

결론

건축 자재에 관해서, 충전된 흙과 콘크리트 사이의 선택은 단순히 미학적인 문제만이 아니라 지속 가능성과 내구성의 문제이기도 합니다. 충전된 흙의 친환경적 특성, 열 효율, 독특한 미적 매력은 보다 조화롭고 지속 가능한 생활 환경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이 됩니다. 

'건축학 > 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료  (0) 2023.07.21
재료  (0) 2020.03.04
MATERIAL  (0) 2019.04.11

알판

 

알판은 정식 건축용어는 아니지만 현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알판은 그냥 말그대로 판재 혹은 석고보드 자체를 말하는 단어죠. 가벽이나 벽마감에 각재를 사용하지 않고 판재나 석고보드를 바로 붙이는 시공방법을 알판시공이라고 합니다. 콘크리트나 벽돌벽에는 석고본드나 똥본드(G2본드) 등을 사용해서 시공하고 석고보드에 석고보드를 붙이는 것도 알판시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님이 말한 필름지 붙어 있는 mdf도 알판이고 합판도 알판이고 석고보드도 알판인 것입니다.

알판은 판자체를 말하고 알판작업, 알판시공이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필름이나 칠이 안된 판재를

알판 이라고 합니다

간혹 몰딩을 가공만되고

필름지가 입히지 않는 제품도

해당됩니다

 

가. 개요

나. 설계/시공시 고려사항

  1. 전선은 절연전선을 사용할 것
    단, 전기로의 주변에서 열로 인한 영향을 받는 장소에 시설하는 전기로용 전선 / 바스덕트배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 또는 트롤리선을 시설하는 경우 /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출입할 수 없도록 설비한 장소에 애자사용배선에 의하여 시설하는 전선
  2. 애자
    - 애자는 절연성 / 난연성 / 내수성이 있는 것일 것
    애자와 전선 굵기와의 관계는 다음 표에 따른다(배전반 분전반 등의 배선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애자의 종류 사용하는 전선의 최대 굵기㎟ 나사못㎜ 비고(KS에 의한다)㎜
    지름 길이 애자의 높이 전선홈 하단의 높이
    小 놉 애자
    中 놉 애자
    大 놉 애자
    특대 놉 애자
    특캡 접시애자
    小 핀 애자
    中 핀 애자
    大 핀 애자
    14
    50
    100
    250
    22
    50
    100
    200
    5.5
    5.5
    6.2
    6.2
    -
    -
    -
    -
    58
    65
    70
    77
    -
    -
    -
    -
    42
    50
    57
    65
    65
    65
    70
    80 
    27
    27
    27
    27
    43
    35
    35
    40
    - 전선과 조영재와의 최소이격거리 및 애자의 사용구분은 다음 표에 따른다
    전선과 조영재와의 거리㎜ 놉 애자 특   캡 핀 애자
    측부 바인드 상부 바인드
    25
    45

    ×

    ×


  3. 애관 등
    - 애관은 절연성/난연성 및 내수성이 있는 것으로서 단구 및 내면이 매끄러울 것
    - 이동하지 아니하도록 고정시킬 것
    - 애관을 2본이상 연속시설하는 경우에는 상호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테이핑 등)
    - 절단 또는 깨진 애관을 사용하지 아니할 것.
    - 우선 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의 침입이 되지 않는 구조로 하고 외측을 하향으로 하고 전선을 아래쪽으로 구부릴 것.
    - 전선관과 연결부분에는 관의 양단부(20㎝ 단 가옥의 외벽을 관통할 경우에는 60㎝ 이내)에는 애자를 설치하여 전선을 지지할 것.
  4. 절연전선의 바인드
    - 바인드선은 동 또는 철의 심선에 피복을 입힌 것을 사용할 것
    - 바인드선과 전선굵기의 관계는 다음 표에 의할 것(전선에 동선을 사용하는 경우)
    바인드 선의 굵기㎜ 사용전선의 굵기㎟
    0.9
    1.2 또는 0.9*2
    1.6 또는 1.2*2
    14이하
    50이하
    50초과
    - 바인드는 절연전선 및 바인드선의 피복이 손상 및 늘어지지 아니하도록 할 것
  1. 애자사용배선의 시설방법
    - 노출장소 / 점검가능한 은폐장소 / 옥측 및 옥외에 시설하는 노출장소 및 점검가능한 은폐장소로서 400V 미만의 애자사용배선 / 옥측 및 옥외에 시설하는 400V 이상의 애자사용배선으로 노출장소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가 없도록 시설(사용전압 400V이상인 경우에는 사람이 접촉될 우려가 없을 것.
    - 절연전선이 조영재 등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합성수지관 또는 애관(연질포함)에 넣어 시설할 것
    - 절연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할 경우에는 그 부분의 전선 모두를 각각 별개의 애관 및 합성수지관 등에 넣어 시설한다(관통하는 구멍은 공용하여도 된다)
  2. 배선방법- 배선은 조영재의 하면이나 측면에 시설하고 다음 표에 따라 시설한다(기술기준에 따르면 공사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상면에도 취부할 수 있다)
    구분\사용전압 사용전압 400V 미만의 경우㎝ 사용전압 400V이상의 경우㎝
    전선상호간의 거리
    전선과 조영재와의 거리
    6
    2.5
    6
    4.5(단, 건조한 장소 2.5이상)
    -지지점간의 거리
    구분\사용전압 사용전압 400V 미만의 경우m 사용전압 400V이상의 경우m
    조영재 상면 또는 측면
    놉 애자 사용(서까래간의 건넘)
    2이하(1.5이하가 권장된다)
    6
    2이하(1.5이하가 권장된다)
    6
    (주)지름 2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하고 핀애자 장간애자 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선상호간의 거리를 넓히고 전선지지점간의 거리를 넓힐 수 있다.- 전선이 조영재를 관통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애관/합성수지관 등의 양단은 조영재에서 1.5㎝ 이상 돌출되어야 한다.- 애자사용의 옥측 및 옥외배선은 상기 배선방법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리베팅 및 용접은 판금 부품 생산의 주요 공정입니다.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리벳팅은 리벳을 사용하여 두 개 이상의 리벳 부품을 함께 연결하는 비분리식 연결로, 리벳 연결 또는 간단히 리벳팅이라고 합니다.

용접은 용접할 공작물의 재료(동일 또는 이종)를 가열 또는 가압하거나 둘 다 함께 사용하는 공정이며, 충전재 유무에 관계없이 공작물의 재료는 원자 사이의 영구적인 연결 형성을 달성합니다. .

 

용접 및 리베팅의 장단점:

 

용접의 이점:

1. 용접 연결부는 강도가 높고 밀봉 성능이 우수합니다. 야금 결합으로 인해 강도가 이상적입니다.

2. 용접은 기본적으로 맞대기 이음의 형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용접이음의 중량이 작고, 모재에 많은 수의 리벳을 겹쳐야 하는 리벳팅과 달리 구조가 간단하다.

3. 정상적인 상황에서 연결 비용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용접의 단점 : 용접 변형이 비교적 크고 얇은 부품을 연결하는 데 이점이 없습니다.

 

리베팅의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 변형이 작고 연결 환경에 대한 요구 사항이 낮으며 바람, 물 및 기름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특히 얇은 연결에 적합합니다.

 

리베팅의 단점: 연결 조인트의 강도가 낮고 실링이 불량하며 효율성이 낮고 조인트가 비교적 부피가 큽니다.

'건축학 >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무아스팔트방수  (0) 2024.12.04
[공정관리] PERT-CPM공정표 에서 EST와 EFT  (0) 2024.04.28
빈배합(Poor Mix)과 부배합(Rich Mix)  (1) 2024.04.28
조적조 벽체의 와이어메시  (0) 2024.04.26
수밀성  (0) 2024.04.24

EST : 작업을 시작하는 가장 빠른 개시시각 (Earliest Starting Time)

EFT : 작업을 끝낼 수 있는 가장 빠른 종료시각 (Earliest Finishing Time)

 

- 선행작업이 없는 첫 작업의 EST는 프로젝트의 개시시간과 동일하다.

- 어느 작업의 EFT는 그 작업의 EST에 소요일수를 더하여 구한다.

- 복수의 작업에 종속되는 작업의 EST는 선행작업 중 EFT의 최댓값으로 한다.

'건축학 >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무아스팔트방수  (0) 2024.12.04
리베팅과 용접의 차이점  (0) 2024.04.28
빈배합(Poor Mix)과 부배합(Rich Mix)  (1) 2024.04.28
조적조 벽체의 와이어메시  (0) 2024.04.26
수밀성  (0) 2024.04.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