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더만족설비입니다 ^^

꿉꿉하고 습도높은 수요일입니다 :)


장마기라 그런지 몸도 마음도 자꾸 쳐지고 힘들어서
요 며칠새 술을 자꾸 입에 대게되네요 ㅠㅠ
먹지도 못하는걸 왜 먹는지~~
맥주 두캔먹고 머리가 띵~~~~~~~~~~~~~ ㅠㅠ

그래도 자주 찾아주시는 이웃님들을 위해
오늘의 포스팅은 빼먹으면 안되지요~~




 

오늘은 FCU 팬코일유닛 구조에 대해 알아볼거예요 ^^

가정집에서도 종종 사용하는 경우를 봤고,
중대형 빌딩이나 건물, 공공기관 등은
팬코일유닛을 사용하는 곳이 많아요

FCU 팬코일유닛은
여름엔 냉방, 겨울엔 난방을 해주는 기기인데요

요놈이 대체 에어컨인지~~ 히터인지~~~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지 
궁금하신 분들 많을거예요 ~~

여러분들을 위해
FCU 팬코일유닛구조를 알려드리고자 하니
관심있으신 분들은 잼나게 봐주세요 ^^




  

팬코일유닛 구조를 명확하게 알려드리기 위해
케이싱을 분해해부렸습니다 ㅋㅋㅋ


그냥 설명하는것보다는.....
이렇게 잘게잘게 (?) 부셔서 (??!@#$!@#!@)
보여드리는게 나을것 같아서요 ^^





사진속 팬코일유닛은
[상치매입형 상부토출] 모델이예요.

이게 무슨뜻인가 하면.....


1. 창가쪽에 세워놓는 FCU이고 (상치형)
2. 케이싱 내부에 들어가는 '매립형' 기기이며
3. 바람의 방향은 상부로 나온다는 뜻이죠 ! (상부토출)



케이스를 과감하게 떼어냈어요~~
팬코일유닛 내부 구조는 처음보시쥬 ?!


팬코일유닛 FCU
Fan
Coil
Unit 의 약자예요.

팬 + 코일로 구성되어있다고 해서
팬코일유닛인거예요 ㅋㅋㅋ




 

팬코일유닛의 팬 !!!!!!
요놈이 바로 팬이예요 ~~~~~

팬코일유닛구조는 우리가 생각하는것만큼
복잡하지 않아요 !


크게 생각하자면
코일덩어리 + 팬 덩어리
요렇게 구성되어있는거거든요~~

상치형 (세워지는 형태) 팬코일유닛의 경우
기기 하부에 팬이 있어요 ~~
바람을 내뿜어주는 녀석이지요 !




 

요놈은 블로워팬이라고도 불러요 ^^


일반 날개형 선풍기보다
블로워팬이 풍량이 더 많거든요~~

그래서 팬코일유닛의 팬모터를 작은 용량을 쓰더라도
블로워팬을 사용하면
모터 대비 풍부한 풍량을 토출시킬 수 있지요 ~~


팬코일유닛의 요놈 '팬'이 뱅글뱅글 돌면서
여러분들에게 냉난방 바람을 선물해 준답니다 :)




 

요 작고 아담한 녀석이 바로
팬코일유닛 팬모터예요 ^^

너무나 작은 모터인데
블로워팬과 연결이 되있거든요 ~

팬코일유닛 전원스위치를 넣으면...
요놈 모터가 동작이 되고,
모터와 연결된 블로워팬이 돌아가면서
바람을 불어주는 역할을 해요 ~~ 


 


 

나중에 [팬코일유닛 고장시 대처방법] 이라는 포스팅을 할 생각인데
미리 작은 팁을 드리자면...

팬코일유닛 전원을 넣어도
모터가 동작하지 않을때 대부분의 고장원인은
요놈 [콘덴서] 수명이 다한 경우예요.


사진속 팬코일유닛 모터 구석탱이에 달려있는
 검정색 물체가 바로 [콘덴서]인데요 ^^
콘덴서는 [기동콘덴서]라고도 부르는데
모터의 초기기동을 도와주는 역할을 해요 .





 

팬코일유닛 구조를 보면은
요렇게 풍량조절을 할 수 있는 스위치가 있어요.

요즘 나오는 팬코일유닛은 무선방식도 있고
뭐 요상하고 다양한 전자제어방식도 있고
하여간 종류가 엄청 많은데요 ㅎㅎ


대부분의 팬코일유닛은
요렇게 수동으로 풍량조절을 할 수 있게끔 되어있어요
팬스피드 스위치라고도 하고,
로터리스위치 라고도 부른답니다 ^^





 

지금까지는 팬코일유닛 구조중에서
[팬]에 해당하는 부분을 살펴봤는데요

이제는 [코일]에 해당하는 부분을 알려드릴거예요 ㅋㅋ


팬코일유닛의 절반은 팬모터,
나머지 절반은 코일부라고 할 수 있지요 ~~

팬모터가 바람을 불어주는 녀석이라면
요놈 코일덩어리
냉난방에 필요한 뜨신물 차가운물을 순환시켜주는 역할을 해요


 

 

팬코일유닛의 요놈 코일덩어리가 한셋트예요.


일명 '앗세이' 라고 하죠 ㅋㅋㅋㅋ

얇고 가느다란 동관코일들 내부에
냉난방을 해주는 뜨신물 또는 찬물이 흐르구여

코일 바깥으로 방출되는 열을...
사진속에 보이는것 알루미늄핀이 더더욱 확산시켜서
효율을 좋게 만들어줘요 ^^




 

팬코일유닛에는 요놈 에어핀이라는게 있어요 !


에어핀, 퇴수밸브, 드레인밸브, 에어벤트
전부 비슷한 용어예요 ^^

팬코일유닛 코일 내부는 물이 흐르는데요


코일 내에 공기가 차거나
찌꺼기가 차면은 물의 순환을 방해하거든요.

이때 요 에어핀을 열어줘서
배관내의 공기나 찌꺼기 등을 빼주는거예요 ~~





 

팬코일유닛에 없어서는 안될 또다른 구성품 ^^
바로 드레인팬, 또는 드레인판이라고 불러요
영어로는 drain fan 이지요 ~~

팬코일유닛은 보통은
여름에는 냉방 (냉수)
겨울에는 난방 (온수)을 하게 되는데

냉방의 경우 여름에 습기때문에 결로수가 생기거든요
코일 바깥에 들러붙는 결로수들이
요 드레인팬을 통해서 바깥으로 버려지게 되는거예요 ~~



 

 

팬코일유닛 케이스를 벗겨야만 보이는 드레인팬 !


여름에 냉방을 하게되면
코일과 알루미늄핀에 결로수가 송골송골 맺혀요 ^^

고놈들이 요 드레인팬에 고여서
일정한 기울기에 따라 바깥구멍으로 빠져나가요 ~~




 

 

사진속 구멍이 결로수 빠져나가는 구멍이예요 !

요 구멍에는 호스가 연결되어있고
그 호스를 타고 물이 버려지는거지요 ~~

그러니, 팬코일유닛의 기본배관은 총 세가닥이 되는거예요

1. 팬코일유닛 코일에 들어가는 배관 (입수)
2. 순환을 마치고 빠져나오는 배관 (출수)
3. 드레인배관 (퇴수)




 

 

팬코일유닛은 에어컨과 마찬가지로
필터라는게 있어요 ~~


보통 상치형 팬코일은 필터가 하부에 있걸랑요 ~^^
왜냐?!!
바람을 불어주는 팬모터가 하부에 있기 때문입니다 ㅎㅎ


요 필터청소만 제때 해줘도
모터랑 팬 오래오래 쓰고
쾌적한 냉난방을 할 수 있답니다 :)

필터청소를 하지 않으면
블로워팬과 모터-팬 축,베어링 부분에
엄청난 먼지가 들어가지요 !





 

팬코일유닛 드레인팬 하부에는
요렇게 적당한 보온처리가 되어있어요

팬모터 가동에 의한 소음을 흡음하고
결로가 생기지 않게 하고
코일의 열이 방출되지 않게 보온 역할을 하지요 ^^



 

팬코일유닛은 냉방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결로수가 생길 수밖에 없는데요~~

그 결로수는 드레인팬을 통해 바깥 호스로 방출되는데
이때 중요한게 구배예요 구배 !!!!!!!
아차.....
구배..... 가 아니고 '기울기' 입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팬코일유닛 본체에는 기울기조정을 할 수 있게끔 되있는데
혹시나 드레인팬의 결로수가  원활하게 빠져나가지 않는다면
요 기울기조정을 해주시면 되요 !




 

팬코일유닛 기울기 조정입니다 ^^


또한, 팬코일유닛 특히 매립형 모델의 경우
사진처럼 상부에 턱 (?)이 져있는데요

이게 왜 있냐면...
매립형 제품의 경우는 외부 팬코일 케이스 사이와의 공간이 넓으면
냉난방 바람에 순환이 제대로 안되기 때문에...
팬코일케이스와 팬코일유닛 본체 사이의 공간을
아티론 보온재나 기타 부속품으로 막아줘야 한답니다 !

매립형 팬코일유닛의 단점이기도 하죠 ^^


지금까지 팬코일유닛 구조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너무 열렬히 포스팅을 쓰다보니 배가 고프네요
이웃님들 오늘하루도 행복하시고
다음에 또 재미난 포스팅 올려드릴게요 ^^

'건축학 > 건축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  (0) 2023.06.27
공사비내역서`란? 그리고 `수량조서`와 `공내역서`란?  (0) 2020.10.27
건식공사_내장  (0) 2020.05.20
시공개념  (0) 2020.01.20
ARCHITECTURE  (0) 2019.04.11

+ Recent posts